장례와 연관있는 의식중에 49제라는 말을 흔히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49제의 정확한 유래와 지내는법, 금기사항등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49재의 유래와 계산법 금기사항 지내는 방법 그리고 기독교인과 49재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49제 or 49재
49재란 불교에서 유래된 의식이다.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 마다 7회에 걸쳐 총 49일간 개최하는 종교의례를 뜻한다. 49재는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천도의식이며 칠칠일(七七日) 또는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한다.
49제라고도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49재(齋)가 맞는 표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재는 제사를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불교 행사를 뜻하는 한자이다.
49재 유래
49라는 숫자는 대승불교에서 나온 숫자이다. 일반적을 영혼이 49일동안 저승에 머무르면서 명부시왕 중 일곱대왕들에게 7일째 마다 심판을 받고, 마지막 49일이 되는날 최종 심판을 받고 환생한다고 한다. 때문에 심판을 받는 날에 맞추어 49일 동안 7번 재를 지낸다.
우리나라 민간신앙에서는 7일 동안 7번, 49일 동안 매일 심판받는다고 믿고 있다. 영화 [신과 함께] 에서는 이러한 민간신앙에 기반하여 저승길을 묘사한 바 있다.
49제 계산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1일로 삼는다. 그 이후로 매 7일 째마다 7회 재를 지낸다. 계산이 헷갈린다면 다음 49제 계산기를 사용해보자.
49재 지내는법
49재는 본디 7일째 되는 날마다 재를 올려야 한다. 하지만 돈과 시간이 많이 들고, 현재 실정과 맞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 49일에만 간단하게 재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종종 49재를 제사와 착각하여 집이나 산소 등에서 제사상을 차리는 경우가 있는데, 49재는 염불을 낭송하고 불과 악기를 연주하는 엄연한 불교 행사이다.
사찰에서 49재를 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사찰과 먼저 연락을 한 후 재를 준비한다.
- 발인과 안장이 끝나면 고인의 영정사진을 절에 안치한다.
- 돌아가신 후 7일째 되는 날에는 초재를 지내게 된다. 이때는 영혼을 목욕시키는 관욕의식을 진행한다.
- 보통 7주 동안 7번의 재를 지내며, 이를 다 못 지내는 경우에는 1,3,5,7재를 모시거나 초재나 막재만 지낸다.
- 49재 기간에는 집 또는 절에서 기도를 매일 하는 것이 좋다.
- 마지막 49재 날에는 위패와 종이옷을 태우는 소지의식을 진행한다.
- 이후에는 전통 명절에 따라 성묘하고 제사를 지낸다
기독교 49재
간혹 기독교인데도 불구하고 49일에 맞추어 예배를 드리는 기독교 가정이 있다. 49재란 고인의 환생과 관련이 있는 의식이며 불교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환생을 믿지 않는 기독교가 이러한 49재를 지킨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 이러한 일은 49재를 우리의 전통 유교문화와 혼동해서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49재 금기사항
49재는 고인을 기억하고 추모하며 즐겁고 기쁜일은 삼가하는 기간이다.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피하는 것이 좋다
- 음주가무
- 경조사 참여
- 여행
- 부부관계
49일 동안 괴로울 수 있겠지만, 동일하게 금욕생활을 하는 조선시대 3년 상에 비하면 짧은 기간이기 때문에 잘 참도록 하자.
댓글